반응형
고양특례시 하수도 요금 3년치 소급 부과 논란 정리
◾️사건 개요
경기도 고양특례시가 하수도 요금 청구가 누락됐던 2,300여 가구에 대해 최대 3년치 요금을 한꺼번에 소급 부과하면서 지역사회에 큰 반발이 일고 있습니다.
고양시는 전 가구를 대상으로 상하수도 요금 부과 여부를 조사하던 중, 일부 가구가 공공 하수도에 연결됐음에도 불구하고 요금이 청구되지 않았던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시정하기 위해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
◾️누락 가구 현황 및 지역별 부과 금액
덕양구 | 약 800여 가구 | 6억5천만 원 |
일산동구 | 약 700여 가구 | 6억4천만 원 |
일산서구 | 약 700여 가구 | 14억5천만 원 |
총계 | 약 2,200가구 | 약 27억6천만 원 |
◾️주민 반응
고지서를 받은 일부 시민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:
- “행정의 실수로 요금이 누락된 것을 왜 시민이 책임져야 하냐”
- “한 번에 수십만 원씩 고지받아 부담이 너무 크다”
- “소급 부과 자체가 부당하다”
특히, 연금 생활자나 저소득 가구 는 최대 3년 치 요금을 한꺼번에 내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하소연하고 있습니다.
◾️고양시 입장
고양시 측은 다음과 같이 해명하고 있습니다:
- 법률 자문에 따라 3년까지 소급 부과가 가능하다
- 최대 36개월(3년)까지 분할 납부 가능
- 현장조사와 이의신청 절차를 통해 조정 여지 존재
또한, 이번 일을 계기로 내부 지침을 재정비하고 시스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
◾️결론 및 제안
하수도 요금 누락은 분명 행정 시스템의 미비에서 비롯된 문제입니다. 그러나 그 책임을 시민이 전액 부담하게 되면서 사회적 갈등으로 비화되고 있습니다.
정확한 조사와 합리적 조정, 그리고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이 시민 신뢰 회복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. 고양시는 시민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할 시점입니다.
반응형
'⚪️ 오늘의 뉴스 ⚪️ >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도랑 파키스탄 또 싸우나? 미국이 나선 이유와 2025 중재 내용 정리 (4) | 2025.05.10 |
---|---|
김문수 대선후보 공약 | 2025 GTX·청년정책·AI·복지 내용 (0) | 2025.05.05 |
KS한국고용정보 개인정보 유출 사건 총정리 | 피해 규모와 대응 방법 (3) | 2025.04.28 |
북한 SLBM과 핵추진 잠수함,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충격 분석 (1) | 2025.04.26 |
김정은 북한 최신 무기 정리: 최현호 구축함, 초음속 미사일, 핵추진 잠수함 (1) | 2025.04.26 |